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EcGkSnDtZ0&list=PLgqG2uj21HgkcfVtlr5rPekQl5VWJEnIB&index=21

학습 목표

  1. switch 구문
  2. break 구문
  3. continue 구문

switch 구문

switch에 있는 값을 확인하여 값에 맞는 case로 이동을 하여 코드를 실행하는 구문이다.

#include <iostream>

int main(){
    using namespace std;
    
    int a;
    cin >> a;

    switch (a)
    {
    case 1:
        cout << "1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
     case 2:
        cout << "2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
     case 3:
        cout << "3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}
    cout << "Please rewrite again" << endl;
}

default를 이용하면 switch에 있는 값이 아닐 때 출력하는 구문이다.

#include <iostream>

int main(){
    using namespace std;
    
    int a;
    cin >> a;

    switch (a)
    {
    case 1:
        cout << "1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
     case 2:
        cout << "2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
     case 3:
        cout << "3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default:
        cout << "Please rewrite again" << endl;
        break;
    }
}

break 구문

break는 구문을 탈출하는 명령어이다. 만약 아래의 코드처럼 break가 빠져있으면 차례대로 모든 case가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.

#include <iostream>

int main(){
    using namespace std;
    
    int a;
    cin >> a;

    switch (a)
    {
    case 1:
        cout << "1" << endl;
    
     case 2:
        cout << "2" << endl;
    
     case 3:
        cout << "3" << endl;
    default:
        cout << "Please rewrite again" << endl;
    }
}

break는 탈출문을 구성할 때 사용한다.

#include <iostream>

int main(){
    using namespace std;
    
    int i = 0;
    while (true)
    {
        cout << i << endl;
        if (i > 10){
            break;
        }
        i++;
    }
    
}

continue 구문

continue는 break와 달리 다음 문장을 실행시킨다. 즉 건너뛰는 역활을 한다. 아래의 코드를 보면 홀수는 건너뛰는 것을 알 수 있다.

#include <iostream>

int main()
{   
    using namespace std;
    for (int i = 1; i <= 100; i++)    // 1부터 100까지 증가하면서 100번 반복
    {
        if (i % 2 != 0)               // i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아니면 홀수
            continue;                 // 아래 코드를 실행하지 않고 건너뜀

        cout << i << endl;
    }

    return 0;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