작은 문자형을 표현할때 사용한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char a = 'a';
cout << a << endl;
}
char은 아스키 넘버를 사용하기때문에 65를 char로 만들게 되면 여전히 a가 출력되는 것을 알 수 있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int a = 65;
char b = 'a';
cout << b << endl;
}
작은 문자열은 작은 따음표(’ ’)을 사용하고, 큰 문자열은 큰 따옴표(” ”)를 사용하여 표현한다. 또다른 차이는 큰 따옴표에는 Null문자가 표함되어있다. 아래의 코드를 보면 정상 작동을 하지않는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char a[] = {'a', 'b', 'c'};
cout << a << endl;
}
‘\0’이라는 null문자를 넣어줘야지 문자열에서 끝이라는 의미를 나타내어 정상작동을 한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char a[] = {'a', 'b', 'c', '\\0'};
cout << a << endl;
}
bool 자료형은 0과 1로만 구성되어있고, 0은 false 1은 true를 나타낸다. 0이 아닌 숫자는 모두 ture로 받아들인다.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int main(){
bool a = 0;
bool b = 1;
bool c = 100;
cout << a << endl;
cout << b << endl;
cout << c << endl;
}